엉뚱한 호기심?이 발동해서 소수림왕의 혈액형과 MBTI를 추측 해봤다
혈액형<--추측
소수림왕은 많은 개혁과 사회적 변화를 추진한 왕으로
매우 신중하고 체계적인 접근 방식을 취했습니다.
그는 불교와 유교를 받아들이고 국가 통치의 기본 법을 반포하는 등
외교와 내정을 잘 조화시켰습니다.
이는 매우 계획적이고 전략적인 성격을 나타내는데
이런 성향은 A형에 가까울 것으로 예상됩니다.
A형은 대체로 신중하고 체계적이며 규범을 중시하는 성격을 갖고 있기 때문에
소수림왕의 리더십 스타일과 잘 맞아 떨어집니다.
MBTI<-- 추측
소수림왕은 외교적 협력과 내부 개혁을 통해 국가를 안정시키려 했고
전통적인 사고를 넘어서 유교와 불교를 수용하는 혁신적인 자세를 보였습니다.
그는 국가의 제도와 법률을 체계적으로 재정비하고 유교 교육과 불교를 국가 이념으로 삼아
국가의 근본을 새롭게 구축하려 했습니다.
이는 INTJ 성격 유형에 가까운 특징을 보입니다.
INTJ는 계획적이고 전략적인 사고를 하며 미래에 대한 비전을 가지고
국가나 조직을 이끄는 성향을 지니고 있습니다
고구려 소수림왕은 고국원왕의 아들로 371년 즉위하였다. (재위:371-384) 그는 고국원왕 대의 대외 정책 실패로 인한 사회 동요를 극복하고 체제를 정비하는 데 주력했다. 372년 전진에서 외교사절단과 함께 온 승려 순도를 맞이하고 374년 아도를 받아들이는 등 불교를 수용하고 보급. 372년에는 유교교육 기관인 태학을 설립하여 유교이념을 확대 373년에는 율령을 반포하여 중앙집권적 국가 체제를 강화. 이러한 개혁은 고구려가 4~5세기 전성기를 맞이하는 기반이 되었다. 대외적으로는 374~376년 백제와 계속 충돌했으며 378년 거란족의 침략을 받았다. 그러나 전진과 외교 관계를 유지하며 국력의 분산을 막고 내부 개혁을 추진할 수 있었다. 그는 사후 소수림에 묻혔다. |
![]() 보살과 부처 여러개:관세음보살/지장보살/문수보살/미륵보살 석가모니불/아미타불/비노자나불/미륵불 여러 부처와 보살을 신앙하는 경향이 강함 경전이 많고 다양함/신앙과 기도의 역할이 큼 소승불교:개인의 수행과 깨달음 부처는 하나-오직 석가모니 부처만 존재/보살 개념이 약함
*대승불교는 동아시아(한국/중국/일본)에서 발전했고 소승불교(테라와다 불교)는 동남아시아(태국/미얀마/스리랑카)에서 주로 믿음. 현재 인도에는 소승불교(테라와다 불교)가 주류지만 과거에는 대승불교도 있었다! |
![]() |
![]() |
소수림왕은 이런 모습이 였을까 ? AI가 그려준 소수림왕의 모습
1.소수림왕이 불교를 공인한 이유로 가장 적합한 것은?
소수림왕은 불교를 공인하여 왕권을 강화하고, 국가의 통합을 위한 수단으로 활용했습니다. |
2. 소수림왕이 국가 체제를 정비하기 위해 시행한 정책이 아닌 것은? ① 불교를 수용하고 사찰을 건립함 ② 유교 교육 기관인 태학을 설립함 ③ 율령을 반포하여 법 체계를 정비함 ④ 신라와 연합하여 백제를 공격함 정답: ④ 신라와 연합하여 백제를 공격함 (소수림왕은 신라와의 연합보다는 백제와 계속 대립하는 정책을 펼쳤다.) |
3. 소수림왕의 개혁 정책이 고구려에 미친 영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고구려가 부족 연맹 국가에서 중앙집권 국가로 발전하는 기반을 마련함 ② 즉위 이후 곧바로 광개토대왕이 등장하여 영토 확장을 시작함 ③ 불교를 탄압하고 전통적인 부족 신앙을 강화함 ④ 율령 반포를 통해 신라와 법 체계를 통합함 정답: ① 고구려가 부족 연맹 국가에서 중앙집권 국가로 발전하는 기반을 마련함 |
4. 소수림왕이 즉위한 시기의 대외 관계로 옳은 것은? ① 전진과 외교 관계를 맺고 불교를 수용함 ② 신라와 백제가 연합하여 고구려를 공격함 ③ 거란과 백제가 동맹을 맺어 고구려를 침략함 ④ 일본과 적극적으로 교류하며 선진 문물을 받아들임 정답: ① 전진과 외교 관계를 맺고 불교를 수용함 (소수림왕은 전진과 교류하면서 불교를 받아들이고 국력의 분산을 막았다.) |
'한국사 정리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출문제로 배우는 한국사 (3) | 2025.05.12 |
---|---|
옥저와 동예에 대한 흥미있는 몇가지-한국사 정리 (14) | 2025.04.21 |
2.청동기시대를 공부하기 (11) | 2025.04.16 |
1.혼자 하는 한국사공부 -문제 풀이 (10) | 2025.04.14 |